상세정보
나는 작가가 되기로 했다
- 저자
- 경향신문 문화부
- 출판사
- 메디치미디어
- 출판일
- 2015-04-30
- 등록일
- 2015-07-22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25MB
- 공급사
- 교보문고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뉴 파워라이터 24인의 글쓰기 세계를 훔쳐보다!
『나는 작가가 되기로 했다』는 《경향신문》이 기획한 뉴 파워라이터 20인에 선정된 이 시대 파워라이터들이 털어놓는 글쓰기 속살을 낱낱이 공개한 책이다. 철학자 강신주, 사회학자 고병권, 문화학자 엄기호, 과학철학자 장대익, 여성학자 정희진 등 저마다 자기 분야에서 꾸준히 책을 쓰면서 대중 담론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우리나라 대표 필자들이 솔직하게 털어놓는 ‘글쓰기에 관한 모든 것’을 엿볼 수 있는 기회다.
그들은 ‘나만이 쓸 수 있는 글’을 써야 하고, ‘당대의 사건과 현장을 아우르는 주제’를 고민해야 하며, ‘사람들 곁에서 폐허를 직시할 수 있는 용기’를 기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한다. 이외에도 파워라이터 24인이 솔직하게 털어놓는 글쓰기에 관한 진지한 자기 고백과 성찰, 그리고 한 권의 책이 나오기까지 얼마나 많은 노력과 정성을 쏟았는지를 직접 들음으로써, 독자 역시 자기 분야에서 새로운 시각을 발견할 수도, 소재를 풀어내는 데 기발한 아이디어를 제공받을 수도 있으리라.
저자소개
저자 : 경향신문 문화부
저자 : 김종목
2000년부터 〈경향신문〉에서 일했다. 사건팀장, 사건데스크까지 기자 생활 절반 이상을 사회부에서 지냈다. 정치부와 문화부에서 보낸 세월이 엇비슷하다. 신문혁신팀, 기획취재팀에도 각각 몇 달간 있었다. 일할 때 빼고는 인터넷과 SNS를 멀리하던 차 모바일팀장에 발령받았다. 지금은 웹과 모바일 모니터에 빠져 산다.
저자 : 김희연
1995년 〈경향신문〉에 입사해 매거진X부, 문화부, 산업부와 경제부 등에서 일했다. 승민, 승원 두 딸의 응원 덕분에 기자 생활을 재미있게 하고 있다.
저자 : 백승찬
대학에서 철학, 대학원에서 영상이론을 전공했고, 2003년 〈경향신문〉에 입사해 문화부, 사회부에서 주로 근무했다. 문화부에서는 영화, 출판 등을 오래 담당했다.
저자 : 정원식
2007년 〈경향신문〉에 입사해 5년 반 동안 〈주간경향〉 사회팀에서 일했다. 이후 〈경향신문〉 문화부에서 문학과 출판을 담당했다. 2015년 1월부터 정책사회부로 옮겨 서울시교육청을 출입하고 있다.
저자 : 주영재
2010년 〈경향신문〉에 입사해 사회부, 문화부, 국제부 등을 거쳤다. 지혜로운 아내 선경과 귀여운 아들 윤건이와 함께 보내는 지금이 늘 인생 최고의 순간이라 생각한다.
목차
서문 파워라이터에게 배우는 글쓰기
01 삶이든 글이든 자기감정에 당당하라 | 강신주 철학자
02 제도권 밖에서 ‘현장’을 이야기하다 | 고병권 사회학자
03 내부자로서의 양심적 고백 | 김두식 법학교수
04 ‘독한 글’로 시대의 통념을 깨다 | 김원 정치사학자
05 기록하지 않으면 망각되는 군대 문제 | 김종대 군사평론가
06 재료가 좋으면 과정이 즐겁다 | 박찬일 셰프·음식칼럼니스트
07 근대 사료를 포착해 현재에 다리를 놓다 | 박천홍 역사저술가
08 논픽션의 새로운 기법, ‘비평적 픽션’ | 박해천 디자인연구자
09 경제와 인문 사회를 교직하다 | 선대인 경제연구인
10 비평은 함부로 말하지 않는 연습이다 | 신형철 문학평론가
11 당신은 누구의 ‘곁’에서 글을 쓰는가 | 엄기호 문화학자
12 누군가는 써야 하는 글에 도전하라 | 이강영 입자물리학자
13 사람 마음을 훔치는 ‘끌림’이란 | 이병률 시인
14 사회적 경제의 시작, 소셜픽션 | 이원재 경제평론가
15 우연한 만남에서 글감을 떠올리는 그림 에세이스트 | 이주은 미술사학자
16 표류하는 책의 바다에서 나침반이 되다 | 이현우 서평가
17 저술로 세상과 ‘맞짱뜨는’ 글치 공학도 | 임승수 저술가
18 두 가지 렌즈로 세상을 보는 통섭 1세대 | 장대익 과학철학자
19 드라마, 예능을 소재로 진화를 이야기하다 | 전중환 진화심리학자
20 삶의 모든 문학적인 순간을 포착하라 | 정여울 문학평론가
21 주류적 시각을 거부하는 ‘소수자’를 위한 글쓰기 | 정희진 여성학자·평화학연구자
22 오역 때문에 철학자를 탓하는 현실을 바로잡다 | 진태원 철학자
23 정신분석에서 대중문화까지 아우르는 ‘매체중독자’ | 하지현 신경정신과 전문의
24 청년 세대의 ‘웃픈’ 처지를 항변하다 | 한윤형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