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화성에 가는 길과 화성에서의 생명 탐사, 그리고 화성의 테라포밍 및 우주 탐사로 파생되는 기술 등의 장단점에 대해 상세히 이야기하는 『2030 화성 오디세이』. 한국마이크로중력학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우주생명과학연구회 등에서 활동하는 22명의 저자의 손과 머리로 상상한 화성 탐사의 미래를 담았다.
저자소개
저자 : 최기혁
저자 최기혁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달탐사연구단장. 항공우주의 미래를 준비하는 과학자. KAIST에서 항공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영국 런던대에서 고층대기로 천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항공우주연구원에서 연구하며 한국우주인배출사업단장을 역임했고, 미래융합기술연구실장을 거쳐 현재 달 탐사연구단장을 맡고 있다.
저자 :
저자 강성현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래기술연구본부 책임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래기술연구본부 책임연구원. 세포생물학자로, 한국연구재단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중수소기반 이생명시스템)의 연구책임자다. 단백체학 기반 연구를 하고 있다.
저자 :
저자 김규성은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 교수. 인하대 의대 이비인후과 교수로 한국항공우주의학회 간행이사 및 인하대 우주항공 의생명과학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저자 :
저자 김어진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과학팀 선임연구원. 태양계 내 천체를 연구하는 과학자다. 충남대에서 전리층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항공우주연구원 우주과학팀에서 달 및 행성 환경을 연구 중이다.
저자 :
저자 김영효는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 교수. 인하대 의대 이비인후과 교수로 국토해양부 및 미국연방항공청(FAA) 항공전문의 자격을 가지고 있으며, 미래창조과학부 지정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연구를 하고 있다.
저자 : 김재경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선임연구원
고려대 식품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에서 방사선 멸균 식품과 우주방사선에 의한 생물반응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저자 : 김택중
연세대학교 생명과학기술학부 교수
연세대 생명과학기술학부 교수로 미래창조과학부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우주비행사의 건강을 위한 의약품도 개발하고 있다.
저자 : 김한성
연세대학교 의공학부 교수
미세중력 환경에서의 신체 변화와 운동 분야의 전문가로 현재 연세대 의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자 :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2007년 연세대학교에서 천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UN 평화적 우주이용 위원회 근지구천체 분야 한국대표로 태양계소천체와 우주감시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저자 : 박준수
연세대학교 생명과학기술학부 교수
연세대 생명과학기술학부 교수로 미세중력에 의한 세포신호 전달을 연구하고 있다.
저자 : 변용익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교수
1992년 호주국립대에서 천문학과 천체물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NASA 허블펠로우, 하와이주립대 연구과학자, 대만국립중앙대 천문학 부교수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에 재직 중이다.
저자 : 윤태성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래기술연구본부 책임기술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래기술연구본부 책임기술원. 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러시아 우주 정거장 미르와 미국 컬럼비아호, ISS 등 세 차례 마이크로중력환경 단백질결정 성장 임무에 참여했다.
저자 : 이대택
국민대학교 체육학부 교수
국민대 교수로 연세대 체육교육과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주립대에서 운동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체온생리학을 전공했으며 ‘영양시대의 종말’ 등 다섯 권의 저서가 있다.
저자 : 이유경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
1998년 서울대에서 생물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 북극이사회 ‘북극 모니터링 및 평가 프로그램 작업반’ 한국대표단, 국제북극과학위원회 실행위원, 국제영구동토층협회 한국대표, 한국우주생명과학연구회 총무로 활동 중이다. 북극 미생물이 화성의 조건에서도 살 수 있는지 연구 중이다.
저자 : 이주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과학팀 팀장
우주실험 및 태양계 내 천체를 연구한다. 충남대에서 우주실험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항우연 우주과학팀장으로 우주실험 및 과학탑재체를 연구 중이다.
저자 : 이준호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 한국마이크로중력학회 총무이사로 ‘Microgravity Science & Technology’ 특별호의 Guest editor를 역임했다. 독일 DLR과 일본 JAXA 등이 주관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 내 물성 측정 실험에 참여하고 있다.
저자 : 이창수
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서울대에서 화학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MIT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지낸 후 2004년부터 충남대 화학공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9년 미국 하버드대 교환교수를 지냈다. 2010년부터 NASA의 우주과학 연구팀 ACE(advance colloid experiment)의 한국 대표 과학자로 참여하며, 국제우주정거장에서의 우주과학 실험과 연구를 하고 있다.
저자 : 이태훈
전남대학교 치의학 전문 대학원 생화학
목차
서문: 인류의 화성정착 시대를 기대하며
1장 프롤로그: 우주의 꿈, 화성에서 찾다
화성은 지구와 형제처럼 태어났다 | 여전히 미지의 행성
1부 1차 탐사: 화성에 가기까지
2장 신경계와 감각의 변화: 우주 멀미는 괴로워
정신 없었던 우주멀미 | 우주는 낮과 밤의 구분이 없다 | 그림도 글자도 엉망진창
3장 우주에서 건강 지키기: 우주 면역력, 비타민이 필수
우주유영은 피부노화를 부른다 | 보이지 않는 몸 속 변화
4장 심혈관과 근골격계: 끈 매고 뛰는 우주 런닝머신
심장을 위협하는 수분 상실
2부 1차 탐사: 화성에서 보낸 첫 주
5장 화성에서 보낸 첫 날: 태양계 최대의 화산 ‘올림푸스몬즈’에 가다
착륙 | 대기 | 일몰
6장 생명탐사: 화성 동토층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을까
큐리오시티, 말라버린 강을 발견하다 | 화성 생명체도 DNA 갖고 있을 듯
3부 2차 탐사: 화성 거주 프로젝트
7장 화성행 우주선: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
지구-화성 대접근 이용해 6개월 만에 도착 | 귀환 연료는 화성 현지에서 조달
8장 화성 거주시설: 녹색식물도 키우는 ‘화성 호텔’
상상 이상의 맛, 화성 그린샐러드 | 기지는 탐사의 전초기지 | 홈, 마이 스위트 홈(Home, My Sweet home)
9장 테라포밍과 바이오돔: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
지구 대기 가져가 화성에 심는다 | 테라포밍의 시작 바이오돔
10장 우주 의복과 음식: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
우주복 기술이 가능하게 한 화성 올림픽 | 파티의 꽃 우주 음식 | 귀환 프로젝트: 지구로 돌아오는 길
4부 미래: 지구를 넘어 화성을 넘어
11장 지구로 돌아오다: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
우주선 열기 막던 방열 재료 | 토사 녹여 황사 줄이다 | 새로운 우주 임무를 꿈꾸는 큐브샛
12장 심우주 탐사: 유로파를 향해 떠나다
원로 과학자와의 만남 | 통일한국 우주강국 | 새로운 출발 - 먼 우주를 향하여
맺음말: 우리 과학자의 손과 머리로 상상한 화성탐사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