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혁신교육 정책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현장 교사 출신 전문가들이 말하는 우리 교육『혁신교육 미래를 말한다』. 경기도교육청이 혁신교육 정책을 입안하고 추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아왔던 경기도교육연구원 정책 개발 연구자들이 지난 4년 동안의 연구 노력을 하나로 모아 엮은 책이다. 이 책은 혁신교육을 교육정책의 새로운 흐름으로 만들어왔던 여러 주제들을 다시 검토하고, 교육 혁신을 이루기 위해 앞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의 주요 방향과 내용을 폭넓게 제시한다. 혁신교육의 기본방향과 정책뿐만 아니라, 혁신교육 정책에 대한 다양한 쟁점과 대안까지 다루고 있다.
저자소개
저자 :
저자 서용선은 경기도교육연구원. 교육을 가장 민주적이고 창조적인 일이라고 생각하는 중학교 교사이다. 현재는 경기도교육연구원 정책개발팀장을 맡고 있다. 일산정보산업고, 장성중, 충의중을 거쳐 혁신학교 의정부여중에서 혁신부장을 역임했다. 충북대, 서원대 강사와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를 했고, 현재는 한국외대 교육대학원 외래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저자 :
저자 김성천은 경기도교육연구원. 교육과 연구와 운동을 통합한 삶을 지양하면서 혁신학교, 청소년 문화, 교육정책에 관심을 가진 고등학교 교사이다. 깨끗한미디어를위한교사운동 대표, 좋은교사운동 정책위원장과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 부소장을 역했다. 성균관대학교에서 교육사회학 및 교육행정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아름다운 배움 이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경기도교육연구원 정책개발팀에서 근무하고 있다.
저자 :
저자 김혁동은 경기도교육연구원. 학교조직과 교직의 변화에 관심이 많은 초등학교 교사이다. 경기도 가평, 성남, 하남에서 20여 년 동안 교육활동을 하고 있는 중이다. 경인교육대학교에서 강의를 하면서 교사교육의 중요성을 배웠고, 경기도교육연구원 정책개발팀에서 ‘경기도형 학교행복지수’ 개발과 ‘혁신학교 성과분석’에 일조하였다.
저자 :
저자 송승훈은 경기도교육연구원. 20:80 사회에서 독서교육이 교육의 빈부격차에 대응하는 힘이 있다고 여긴다. 전국국어교사모임의 독서교육 분과 ‘물꼬방’과 경기도중등독서토론교육연구회 선생님들과 함께 정규수업시간에 교사가 지치지 않고 하는 독서교육에 대해 공부하고 실천해왔다. 경기도교육연구원 정책개발팀에서 교사 연수를 더욱 현장성 있게 하는 일을 기획하고 있다.
저자 :
저자 오재길은 경기도교육연구원. 아이들과 운동장에서 축구 경기를 하는 것을 제일 좋아했던 초등교사 출신이다. 참여정부 때 대통령자문 교육혁신위원회 상근 전문위원으로 활동하였고, 경기도교육연구원 정책개발팀에서 근무하였다. 조직문화 혁신에 관심이 많으며, 현재는 경기도교육청 정책기획관 정책기획팀장 장학사로 근무하고 있다.
저자 : 홍섭근(경기도교육연구원)
신규교사 시절부터 교직문화 개선에 대한 관심이 많았던 초등학교 교사이다. 인천의 성지초와 창신초, 경기 도창초를 거쳐 현재 경기도교육연구원 정책개발팀에서 근무하고 있다. 정책모니터링단 ‘불만제로팀’을 운영하고, 교원행정업무경감사업 등을 지원하고 있다.
목차
저자 서문
추천사
복잡성 철학으로 교육을 새로 보다 ㆍ 17
혁신교육의 흐름과 복잡성과의 결합 ㆍ 17
복잡성 철학의 출발 ㆍ 18
융합으로서 복잡성 철학 ㆍ 20
복잡성 철학이 제시하는 원리들 ㆍ 22
복잡성 교육철학의 흐름 ㆍ 24
복잡성 교육철학에서 바라 본 학습 ㆍ 28
복잡성 교육철학의 공헌 ㆍ 33
복잡성 교육철학으로 혁신교육 바라보기 ㆍ 34
존 듀이가 말하는 혁신교육 ㆍ 36
다양한 혁신교육 철학과 존 듀이 ㆍ 36
교육의 본질: 시민성 교육 ㆍ 37
듀이는 누구인가? ㆍ 39
듀이의 사상: 프래그머티즘 ㆍ 40
실험학교: 혁신학교의 모태 ㆍ 42
『민주주의와 교육』다시 읽기 ㆍ 44
생활양식으로서의 민주주의 ㆍ 46
창조적 민주주의 교육으로 가는 길 ㆍ 48
혁신교육 토대 만들기 ㆍ 52
역량 중심 교육으로 펼치다 ㆍ 55
역량 중심 교육은 어떻게 도입되었는가? ㆍ 55
역량이란? ㆍ 57
역량 중심 교육의 주요 내용 ㆍ 60
역량 중심 교육의 쟁점 ㆍ 63
시사점 ㆍ 68
교육과정 재구성으로 학교를 바꾸다 ㆍ 73
수업, 교육과정, 평가는 하나다 ㆍ 73
교육과정 만들기를 위한 새로운 시선 ㆍ 74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 ㆍ 78
교육과정 재구성의 유형 ㆍ 82
교육과정 재구성의 방법 ㆍ 85
단위학교 교육과정 만들기 실천 사례 ㆍ 87
함께 교육과정 만들기 ㆍ 90
다른 나라의 핵심 역량 교육과정과 성공의 길 ㆍ 93
여는 글 ㆍ 93
핵심 역량 교육과정 해외 사례와 시사점 ㆍ 96
성공적인 핵심 역량 교육과정을 위한 제언 ㆍ 106
맺음말 ㆍ 110
교직 전문성과 교직 몰입 ㆍ 111
교직 몰입을 통한 학교 혁신의 가능성 탐색 ㆍ 111
조직 몰입과 교직 몰입의 차이점 ㆍ 113
교직 몰입의 특성 ㆍ 116
교직 몰입과 교육 개혁 ㆍ 120
꼭 필요한 변혁적 리더십 ㆍ 122
학교혁신의 주춧돌: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ㆍ 122
거래적 리더십을 넘어서 ㆍ 124
왜 변혁적 리더십인가? ㆍ 126
변혁적 리더십의 특징들 ㆍ 129
학교는 거버넌스로 지속된다 ㆍ 135
거버넌스란 무엇인가? ㆍ 135
거버넌스는 어떻게 탄생했나? ㆍ 137
교육 민주화를 위해 거버넌스 구축하기 ㆍ 139
교육에서 거버넌스 구축하는 방법 ㆍ 141
좋은 거버넌스를 위하여 ㆍ 147
교육 거버넌스를 위한 제언 ㆍ 149
고교 평준화 2.0을 준비해야 한다 ㆍ 152
고교 서열화와 내 삶 ㆍ 152
외고와 자율형사립고 무엇이 문제인가? ㆍ 154
평준화와 고교선택제는 충돌하는가? ㆍ 161
그러면 어떻게 할 것인가? ㆍ 168
이것이 진정한 독서교육이다 ㆍ 171
독서교육 정책 개관 ㆍ 171
정부 정책에 담긴 내용과 검토 ㆍ 179
교육 현장의 반응 ㆍ 186
진단과 평가 ㆍ 190
성공을 위한 의견 ㆍ 199
평화교육의 깃발을 올려라 ㆍ 207
평화의 개념 ㆍ 207
평화교육이란? ㆍ 209
평화교육의 배경과 양상 ㆍ 211
평화교육의 성격과 내용 ㆍ 215
평화교육의 내용 ㆍ 218
시사점 ㆍ 224
다문화교육 정책, 이것이 필요하다 ㆍ 228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현 주소 ㆍ 228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 정책 ㆍ 232
학교 현장에서 본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 ㆍ 237
바람직한 다문화 교육 정책을 위하여 ㆍ 243
바람직한 스마트교육의 길 ㆍ 250
스마트교육의 개념 ㆍ 250
스마트교육의 내용 ㆍ 251
교육 효과성 ㆍ 254
스마트교육의 기대점 ㆍ 256
스마트교육에 대한 비판점 ㆍ 260
스마트교육에 관한 입장 ㆍ 265
스마트교육의 난점 ㆍ 267
시사점 ㆍ 269
참고문헌 ㆍ 274